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재테크/세금&절세26

https://blog.kakaocdn.net/dn/rXrA1/btsEFTVpR9J/P4lBtgFChYAZBaVfVvkgtK/img.jpg ISA계좌에 대한 고찰 심화 과정 ISA 계좌 1. ISA 계좌 기초 ISA 계좌와 관련된 기초 내용은 기 작성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심화 과정에서는 간단하게 핵심적인 내용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 ISA계좌에 대한 고찰 ① 기본 정보 가입 대상: 만 19세 이상 국내 거주자,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납입한도: 연간 납입한도 이월 가능 (1~4년차: 2천만원x n년 차, 5년 차 이후: 1억 원) 추천 납입한도: 연간 2,000만원 투자 가능 상품: 주식형 펀드 및 채권형 펀드, 원리금 보장형 상품, 국내상장주식 등 의무 납입기간: 가입 기간 3년 (3년 이내 해지 시 세제 혜택 없음) 기타: 원금에 한해 중도 인출 가능, 담보대출 불가능, 증권사나 은행 당 1 계좌만 개.. 2024. 2. 10.
https://blog.kakaocdn.net/dn/bhqfZJ/btsEF3XM58T/xPASkAfeEBlFKx9r4dcck0/img.jpg IRP계좌에 대한 고찰 심화 과정 IRP 계좌 1. IRP 계좌 기초 IRP 계좌와 관련된 기초 내용은 기 작성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심화 과정에서는 간단하게 핵심적인 내용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 IRP계좌에 대한 고찰 ① 기본 정보 가입 대상: 소득이 있는 성인 납입한도: 연 1,800만원 (사적연금 총합=연금저축+IRP) 추천 납입한도: 300만원 (세액공제한도 700만원) 투자 가능 상품: 주식형 펀드 및 채권형 펀드, 원리금 보장형 상품, TDF 연금 수령 조건: 만 55세 이상, 가입 기간 최소 5년 이상 기타: 원금에 한해 중도 인출 불가능, 담보대출 불가능, 계좌 개설 개수 제한 없음 ② 절세 효과 2. 연금 저축과 세금 ① 연금 수령시 세금 퇴직연금계좌에서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은 계좌에 있.. 2024. 2. 10.
https://blog.kakaocdn.net/dn/qjIo0/btsEFSu82p2/XFqia6IulDedQFwqaKXqC0/img.jpg 연금저축계좌에 대한 고찰 심화 과정 연금 저축 계좌 1. 연금 저축 계좌 기초 연금 저축 계좌와 관련된 기초 내용은 기 작성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심화 과정에서는 간단하게 핵심적인 내용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 연금 저축 계좌에 대한 고찰 ① 기본 정보 가입 대상: 누구나 가입 가능 (미성년자 포함) 납입한도: 연 1,800만원 (사적연금 총합=연금저축+IRP) 추천 납입한도: 600만원 (세액공제한도) 투자 가능 상품: 주식형 펀드 및 채권형 펀드 등 다양한 펀드와 ETF 편입 가능 연금 수령 조건: 만 55세 이상, 가입 기간 최소 5년 이상 기타: 원금에 한해 중도 인출 가능, 담보대출 가능, 계좌 개설 개수 제한 없음 ② 절세 효과 2. 연금 저축과 세금 ① 연금 수령시 세금 연금을 납입할 때는 세액.. 2024. 2. 10.
https://blog.kakaocdn.net/dn/qGS2I/btsD4mXuYg2/4gkjQeO3D2BP8aSlFLPD4k/img.png 비거주자 금융 상품 투자 절세 전략 1. 비거주자, 금융상품 투자 절세전략 (1) 다른 소득이 적은 경우: 미국에 거주하는 국내 비거주자인 김씨는 이민 후에도 국내의 여러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 중 ELS 상품이 만기가 되어 다음달에 1,200만원의 수익이 예상되는데, 비거주자로서 얼마나 세금을 내야 하는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거주자는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발생한 모든 소득에 대해 국내에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지만, 비거주자는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 즉 국내원천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됩니다. 국내원천소득은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을 의미하며, 비거주자가 국내에서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을 받을 경우, 거주자가 15.4%(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로 원천징수되는 것과는 달리 22%(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로 세금을 원천징.. 2024. 1. 28.
https://blog.kakaocdn.net/dn/bpvXkl/btsD1pOASNP/97zzA7fWwzfM4u6a0DRoeK/img.png 은퇴자 연금 수령 절세 전략 1. 은퇴자,연금 수령 절세전략 지난해에 퇴직한김 씨는 40년 동안 공무원으로 일하였고, 현재 월 200만 원의 공무원 연금을 받고 있습니다. 그는 연금소득에 대한 세금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2000년 말에 소득세법이 개정되면서 2002년부터는 연금을 불입하고 운용하는 단계에서는 세금을 내지 않고,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김씨와 같이 국민연금이나 공무원 연금 등 공적 연금을 받는 경우, 2001년 이전에 납부한 기여금과 2002년 이후에 납부한 기여금을 구분하여 2002년 1월 1일 이후에 납부한 부분에 대한 연금소득만을 과세 대상으로 합니다. 즉, 김씨가 연금으로 매달 받는 200만 원 중에서 .. 2024. 1. 27.
728x90
728x90

loading